위례신사선 진척 상황 및 예상 개통시기

위례신사선에 대해 알아보기

  • 위례신사선 진행상황
  • 위례신사선 노선도는?
  • 위례신사선은 언제 개통 시기는?
  • 위례신사선에 하남역과 용산역도 포함?



개요

위례신사선은 위례 신도시와 서울 강남의 신사역을 연결하는 경전철 노선. 개통 시, 교통불모지인 위례 신도시 주민들의 교통 접근성이 대폭 개선될 것으로 보입니다. 위례신사선은 위례 중앙역을 시작해서, 가락시장, 학여울, 삼성역, 봉은사, 청담, 신사역까지 이어지는 노선으로 총 14.8km 구간에 11개의 역을 갖추고 있습니다. 주요 환승연으로는 가락시장역(3호선, 8호선), 삼성역(2호선), 청담역(7호선), 봉은사역(9호선) 등이 있으며, 서울 강남의 알짜 노선과 환승되는 역이 많습니다.

 

2008년 초기 계획된 위례신사선은 여러차례 사업이 추진되고 사업자도 선정되었으나, 현재(2024년 10월)까지 착공조차 못하지 못한 상태로 오랜 기간 난항을 겪고 있는 상태입니다. 최초 삼성물산에서 복정역에서 신용산 구간에 자기부상방식 열차를 도입하는 형태로 계획되었으나, 중도 포기하였고, 다시 이를 경전철 형태와 신사역까지 변경된 노선으로 2016년 GS건설이 맡아 추진하였으나, 코로나 사태와 지속되는 인건비 및 건설비 상승으로 2024년 6월 사업을 포기함으로써 위례신사선 계획은 다시 원점으로 돌아갔습니다.

 

서울시는 2024년 8월 위례신사선 제 3자 제안 사업 재공고를 냈으며, 총 사업비를 2015년 1조 4,847억원에서 2,758억원 인상된 1조 7,605억원으로 책정되었으나, 참여한 민간사업자가 없어 유찰되었습니다. 10월 총 사업비를 4.4% 증액한 1조 8,383억원으로 2차 재공고하였으며, 오는 11월 4일까지 1단계 사전적격심사 서류를 접수 받을 예정입니다. 서울시는 만약 이번 2차 공고에도 참여하는 사업자가 없을 경우, 곧바로 재정투자사업으로 전환하겠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위례신사선 노선도 및 역 정보

위례신사선은 총 연장 14.8km로 12개의 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주요 역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위례신사선 예상 노선 – 시사저널e]

  • 위례중앙역: 위례신사선 출발점으로, 위례 트램과 연결되는 역입니다. 위례신도시 거주자들이 서울 주요 구역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돕는 허브 역할을 할 예정입니다.
  • 장지역(동남권유통단지): 이곳은 서울 지하철 8호선과 환승 가능한 역으로, 위례신도시 주민들이 기존 지하철망과 연결할 수 있는 중요한 교차점입니다.
  • 가락시장역: 서울 지하철 3호선과 8호선과 환승할 수 있어 강남과 강북 지역 접근이 용이합니다.
  • 헬리오시티역: 송파구 내 대단지 아파트 헬리오시티 근처에 위치하며, 이 지역의 인구밀도를 고려해 신설되었습니다.
  • 학여울역: 서울 지하철 3호선과 환승할 수 있으며, 서울무역전시컨벤션센터(SETEC)과 가까워 전시나 행사 방문자들에게 교통 편의를 제공합니다.
  • 삼성역: 강남 중심지에 위치해 있으며, 서울 지하철 2호선과 환승 가능합니다. 향후 GTX A노선, GTX C노선과 환승이 가능합니다. 현재 개발 진행중인 강남복합환승센터(GBC)와도 연결돼 이동의 편리함이 강화될 예정입니다.
  • 봉은사역: 서울 지하철 9호선과 환승이 가능하며, 강남권과 영동대로 지하화 개발에 발맞춰 강남의 또 다른 중심 교통 허브로 기대됩니다.
  • 청담역: 서울 지하철 7호선과 연결되어 있고, 강남 주요 지구에 속해 강북과 강남을 오가는 연결 노선 역할을 합니다.
  • 청담사거리역 : 청담동과 학동 사거리 부근에 위치하며, 청담동 상업 지역과 가깝습니다.
  • 학동사거리역: 강남구 학동 사거리에 위치하며, 청담과 신사 사이에 위치한 주요 정차역으로 지역 이동 편의를 제공합니다.
  • 을지병원역: 신사동 가로수길과 강남 을지병원 접근 성이 좋아 병원 방문자와 인근 주민들의 교통편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 신사역: 위례신사선 종착역으로, 3호선 및 신분당선과 환승이 가능하여 경전철 이용자들이 강북과 강남을 오갈 수 있는 연결을 제공합니다.

 


위례신사선 개통시기는?

위례 신사선은 여러 차례 일정이 변경되었으며, 현재 사업자도 선정되기 전인 상태로 개통 시기가 불투명합니다.

원래 GS컨소시엄은 2023년 하반기 착공을 목표로 하였으나, 결국 사업비 문제로 사업 포기 및 민간투자사업 심의 지연 등의 문제로 2028년 내 개통은 거의 불가능한 상황이 되었으며, 서울시의 ‘위례신사선 도시철도 민간투자사업’ 2차 재공고에서 사업자가 선정되고 사업이 빠르게 진행되어 2025년 착공이 이루어질 경우, 개통시기는 2029년에서 2030년으로 예상됩니다.

2차 재공고도 유찰되어 서울시 재정투자사업으로 전환될 경우, 민간투자사업으로 진행 시, 예상되는 개통 시기보다 약 3년 가량 더 늦어질 전망입니다.

 

위례신사선 위례하남역 가능성은?

위례신사선 및 위례 트램의 노선도는 대부분 송파 위례와 성남 위례 접근성에 맞춰져 있습니다. 이로 인해 하남시 의원들은 현재 계획된 위례신사선 노선에서 1정거장을 더 연장하여 하남 위례까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는 현재 예정되어 있는 위례중앙역에서 하남시 방면으로 약 1km 가량 더 떨어져 있는 곳에 역을 신설하는 것으로 하남시는 하남 연장에 대한 사전타당성 조사 용역에 착수하였습니다.

[위례신사선 하남연장 – 하남일보]

 

기존의 위례신사선 착공 시점도 불확실한 가운데, 역 추가 시, 사업 타당성과 수익성 등 재평가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 현실적으로 1차 위례신사선 개통 시점에 위례하남역(가칭)이 포함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 입니다. 다만, 상대적으로 혜택을 받지 못하는 위례 하남에 대한 교통 편의 개선의 필요성, 추후 위례삼동선 및 북위례 연장 등 여러 위례신사선 연장선이 고려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시기는 멀지라도, 하남 방면으로 역 및 노선이 신설될 가능성은 높아 보입니다.

 

위례신사선에서 용산역도 포함?

위례신사선의 초기 계획은 용산역까지 포함되어 있었고, 실제 ‘위례용산선’으로 계획되었었습니다. 다만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계획이 무산되면서 최종 노선에서 용산역은 제외되었으며, 현재의 신사역이 종착역이 되었습니다.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은 여러 차례 중단과 재개를 반복하면서 다시 2025년 하반기부터 착공하고, 2030년 초부터 입주하는 것을 목표로하고 있지만, 그러함에도 위례신사선에서 용산까지의 연장은 예정된 바 없는 상태입니다.


※ 노선도 출처 : 위례신사선 노선도 (시사저널e), 하남 연장선 (하남일보)

※ 위례신사선 관련 글 더 보기